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미드나잇 카우보이의 영화의 배경, 줄거리, 음악과 연출, 미장센

by 아르미타 2024. 1. 14.

영화 미드나잇 카우보이 포스터

영화의 배경

"미드나잇 카우보이(Midnight Cowboy)"는 1969년에 개봉한 영화로, 존 슐레진저가 감독을 하고, 더스틴 호프만과 존 보이트가 주연을 맡은 미국 드라마 영화입니다. 제임스리어 허리의 동명소설을 원작으로 하며, 도시의 어두운 현실과 인간의 외로움, 우정을 그린 작품으로 유명합니다. 

 

이 영화는 1960년대 후반 뉴욕의 어두운 현실을 생생하게 담아냈습니다. 도시의 화려한 겉모습 뒤에 숨겨진 빈곤, 범죄, 인간의 소외감을 적나라하게 보여줍니다. 영화 속 장면들은 찬란한 도시 풍경 대신, 좁은 아파트, 거리의 노숙자, 그리고 황폐화된 공간들을 통해 도시의 차가운 모습을 그려냅니다. 특히 주인공 조와 라초가 살아가는 낡고 더러운 건물과 비참한 환경은 그들의 삶이 얼마나 고단한지를 상징적으로 나타냅니다. 영화의 리얼리즘은 당시 관객들에게 충격을 주었으며, 미국 뉴시네마 운동의 대표작으로 꼽히게 되었습니다. 당시 주류 영화들이 회피했던 사회적 문제를 정면으로 다룬 점에서 큰 의의가 있습니다. 

 

또한, 영화는 대담한 주제와 표현 방식으로 사회적으로 큰 논란을 불러일으켰습니다. 남성 호스트인 조의 직업은 당기 금기시된 소재로서 조가 남성을 대상으로 성적인 행위를 시도하는 장면은 당시 관객들에게 엄청난 충격을 가져다줬습니다. 그리고 주인공이 성공에 대한 환상을 품고 뉴욕에 도착하지만, 끊임없이 실패하면서 현대 사회의 비인간성과 아메리칸드림의 허상을 적나라하게 보여주게 됩니다. 이 영화는 단순히 선정적인 이유 때문이 아니라 영화의 전반적인 어두운 분위기와 주제로 인해 X등급을 받게 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이 영화는 아카데미 작품상을 수상하며 예술적 가치를 인정받았습니다. 

 

줄거리

주인공 조 버크는 텍사스 출신의 순진하고 자신만만한 청년입니다. 그는 과거에 웨이터로 일하며 단조로운 삶을 살아왔지만, 성공을 위해 텍사스를 떠나 뉴욕으로 가고자 결심합니다. 조는 자신을 매력적이고 여성들에게 인기가 많은 남성으로 생각하며, 뉴욕에서 남성 호스트로 성공할 수 있다는 환상을 품고, 카우보이 복장을 하고 도시로 향하게 됩니다. 하지만 뉴욕은 조가 꿈꿔왔던 곳과 전혀 다른 곳이었습니다. 그는 여성 고객을 찾으려 하지만 연이어 실패하고, 그의 순진함은  차가운 도시 뉴욕의 현실과 맞지 않았습니다. 

 

조는 뉴욕 거리에서 라초  리조라는 사기꾼을 만나게 됩니다. 라초는 조에게 돈을 요구하며 직업적인 조언을 해줄 것처럼 접근합니다. 라초는 조를 종교적인 인물로 가장한 사람에게 소개하여 돈을 갈취하여 조에게 배신감과 분노를 갖게 하지만, 뉴욕에서의 고단한 생활 속에서 조는 다시 라초를 찾게 됩니다. 라초는 병약하고 몸이 쇠약한 상태지만, 도시에서 생존하는 데 필요한 경험과 교활함을 갖추고 있어 두 사람은 결국 함께 살게 디며 공생 관계를 형성합니다. 

 

라초는 자신의 비참한 삶을 벗어나고자 합니다. 그는 플로리다로 가는 것을 꿈꾸며, 따뜻한 날씨와 평화로운 삶을 갈구합니다. 라초는 조에게 플로리다에서의 새로운 삶과 희망적인 미래를 이야기하면서 그의 열악한 현실을 극복할 수 있는 정신적 도피처로 만들었으나 폐결핵으로 점점 건강이 나빠지게 되어 결국 조가 라초를 돌보는 상황에 이르게 됩니다. 

 

라초는 조가 뉴욕에서 살아남을 수 있도록 현실적인 조언을 해주고, 조는 라초의 건강을 돌보며 그를 보호합니다. 두 사람은 서로 다른 배경과 성격에도 불구하고, 서로를 의지하면서 춥고 배고픈 뉴욕 생활을 견디게 됩니다. 조는 라초와의 관계를 통해 순수함과 따뜻함을, 라초는 조와 함께 하면서 외로움과 고독감을 극복하게 됩니다. 조는 라초의 건강이 점점 더 악화되는 것으로 보고 플로리다로 떠나기로 결심합니다. 여비를 마련하기 위해 뉴욕에서 마지막으로 남성 호스트로 일하고, 그 돈으로 버스표를 구입하여 플로리다로 떠납니다. 함께 플로리다를 떠나게 되지만, 라초는 여행 도중 버스에서 죽고 맙니다. 깊은 슬픔 속에 플로리다에 도착한 조는 카우보이 복장을 벋고 새로운 삶을 시작할 결심을 갖게 되며 영화는 막을 내립니다. 

 

음악과 연출, 미장센

영화 미드나잇 카우보이는 음악과 미장센을 통해 도시의 삭막함과 주인공의 내면세계를 효과적으로 표현하며, 영화의 정서와 메시지를 한층 더 깊이 있게 전달합니다. 음악과 미장센, 훌륭한 카메라 연출을 통해 영화는 당시 금기시되던 주제를 다루었음에도 불구하고 예술적·사회적 가치를 인정받았으며, 1X 등급 영화 최초로  1970년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작품상을 수상한 기록을 세우며 감독상과 각색상까지 수상하였습니다. 현대 영화사에서 사회적 리얼리즘과 감정적 심화를 결합한 뛰어난 작품으로 평가받으며 현재까지도 명작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1) 음악

 

영화의 주제곡인 'Everybody's Talkin'은 조가 텍사스에서 뉴욕으로 떠나는 초반 장면부터 영화 전반에 걸쳐 반복적으로 등장합니다. 가사와 멜로디는 조의 외로움, 고독 그리고 어딘가로 떠나고 싶어 하는 내면을 완벽하게 표현합니다. 이 곡은 영화 내에서 감정적으로 변화가 일어나는 시점에 배경음악을 삽입되어 주인공의 내적 상태를 강조하게 되는 데, 특히 뉴욕 거리에서 방황하는 조의 모습을 보여주는 장면에서 이 곡은 그의 외로움과 고립감을 관객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합니다. 

 

(2) 미장센

 

화련 한 도시 풍경과 대비되는 좁은 골목, 더러운 아파트, 그리고 지저분한 길거리의 뉴욕은 조와 라초가 살아가는 고단한 현실을 드러냅니다. 영화 속 뉴욕은 두 주인공의 내적 고독가 삶의 피곤함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에 반해 라초가 사는 낡고 어두운 아파트의 실내는 벗겨진 벽지, 어두운 조명, 비위생적인 환경을 통해 라초의 건강 상태와 그의 절망적인 삶을 반영합니다. 

 

(3) 카메라 연출

 

거리의 불안정한 분위기를 강조하기 위해 영화는 핸드헬드 촬영기법이 사용되었습니다. 이는 도시의 혼란스러움과 주인공의 방황을 생생하게 전달합니다. 주인공의 감정을 전달하기 위해 클로즈업 기법이 사용되고, 라초의 환상과 조의 과거는 몽타주 기법과 플래시컷으로 표현하면서 관객들에게 장면의 갖고 있는 의미를 잘 전달합니다.